세계의 신화 
검색
세계의 신화 9화 - 마아트
읽음 110 |  2025-03-21

    ◇◆ 마아트: 정의의 여신 ◆◇


    죽은 자의 심판에서 최후의 재판을 주관하는 정의의 여신 마아트(Maat).
    저는 그녀에게서 타로 카드 8번 '정의(Justice)'를 떠올립니다.

     

     

    마아트의 모습은 한눈에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녀는 커다란 깃털을 펼친 모습으로, 머리에도 깃털을 달고 있습니다.

     

     

    이 깃털은 타조의 깃털로, 진리와 질서를 상징합니다.
    마아트는 질서와 법, 진리 자체로 여겨졌으며, 다른 신과 동일시되거나 다른 모습으로 변신하는 일이 없는, 정의라는 개념이 신격화된 존재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신들과 달리 특정한 신전이 없었으며, 마아트를 위한 특별한 제례도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죽은 자의 서와 마아트 ◆◇


    하지만 마아트는 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혹시 "죽은 자의 서"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죽은 자의 영혼이 육체를 떠난 후 저승으로 가는 과정과 사후 세계에서의 재판에 관한 내용이 기록된 이 책은, 고대 이집트의 독특한 사후관을 담은 지침서입니다.
    죽은 자는 자신의 심장을 저울 한쪽에 올리고, 반대쪽에는 진리의 여신 마아트의 깃털을 올려 심판을 받습니다.
    저울의 균형을 보는 이는 아누비스, 그 광경을 기록하는 이는 서기관 토트입니다.
    죽은 자의 심장이 죄의 무게로 인해 기울어진다면, 그가 오시리스에게 진실을 말하고 있는지 금방 드러납니다.
    거짓말을 한 경우, 그의 심장은 **아메미트(Ammut)**에게 먹혀버리고, 다시는 환생할 수 없게 됩니다.
    마아트는 죽은 자의 영혼을 판단하는 진리의 척도이자 정의 그 자체입니다.

     

    그녀는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철저히 저울로 진실을 측정하는 모습으로, 깊은 매력을 느끼게 합니다.
    이는 타로 카드 대아르카나의 '심판(Judgement)' 카드가 상징하는 것처럼, 한 세계의 끝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과거의 행위를 평가하고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과정과도 닮아 있습니다.

     

     

    이러한 마아트는 냉철함과 판단력의 상징이며, 저 역시 그녀와 같은 모습이 되고 싶다는 동경을 품고 있습니다.

     

    ◇◆ 여신을 구분하는 방법 ◆◇


    이제까지 다양한 여신을 소개했지만, 이집트의 여신들은 머리에 얹은 상징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점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위 벽화에서 왕비 앞에 나란히 서 있는 여신들을 살펴보면:

     

    머리에 뿔과 태양 원반을 얹은 이는 하토르,
    왕좌를 머리에 얹은 이는 이시스,
    깃털을 펼치고 머리에도 깃털을 단 이는 마아트입니다.
    콤옴보 신전의 벽화에서도 머리에 깃털을 단 모습이 보인다면, 이는 마아트로 보아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깃털을 펼친 모습은 종종 다른 여신들에게도 묘사됩니다.
    예를 들어, 머리에 왕좌를 얹은 이시스가 깃털을 펼친 모습으로 자주 등장하기도 하고, 머리에 뿔과 태양 원반을 얹은 하토르로 보이는 벽화도 있습니다.

     

     

    이집트 여행에서 기념품으로 파피루스나 조각상을 구매하려는 분들께, 꼭 확인하시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저 역시 한 번은 깃털을 펼친 모습을 보고 마아트라고 생각했지만, 나중에 머리에 왕좌를 얹은 것을 발견하고 그것이 이시스였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기념품 가게 주인조차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있으니, 이 구분법을 기억하시고 잘 살펴보세요.

     

    마아트는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하거나 책임 있는 판단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좋은 수호신이 됩니다.
    그녀의 조각상을 방에 두고 마음을 정리하며 그녀의 힘을 빌어보는 것도 좋겠죠.
    저 역시 방에 그녀의 상을 두고, 수호신으로 삼고 있습니다.

     

    댓글
    0/300
      loading
      loading
      top
      share
      기법설명
      닫기
      1) 고정운 : 구성 항목의 대다수가 이용 시기와 상관없이 변하지 않는 숙명을 점치는 고정운 메뉴입니다.

      2) 변동운 : 구성 항목의 대다수가 이용 시기에 따라 변하는 운명을 점치는 변동운 메뉴입니다. 운의 흐름에 따라 변동 주기는 최소 1주일 ~ 최대 1년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